
'블랙클라운'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5.11.22
이 공연은 공연내용상 좋긴 했는데, 한편 상당히 이해가 안됐던 점이, 어린아이들이 볼만한 공연이 아닌데 유치원생이나 초등생정도의 어린아이들이 부모님들 따라 많이 관람온 점.
총 세개의 독자적 공연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좀 심각하고 어두운 내용의 '전봉준'과 '운수좋은 날'의 두 공연 사이에 샌드위치격으로 코믹한 내용의 '블랙 클라운' 마임이 끼워져 있는 구성. 두개의 프로그램이 너무 어두운 내용이라 긴장 이완용으로 이렇게 프로그램을 구성했나 볼수도 있긴 한데, 어쨌든 너무 다른 성격들의 공연들이라 그외 이유라면 좀 무리가 있긴 함.
세 프로그램중 어린아이가 볼만한 공연은 블랙 클라운 하나였는데, 이건 물론 아이들이 더 좋아할만한 공연이었지만, 그 외 두개의 프로그램은 성인대상 공연이 아닐까 싶었는데, 왜 어린아이들한테 표를 판거지? 다 초대로 온건가?
초대라면 그럭저럭 이해?
어린아이들과 같이 관람하기를 장려하는 PR을 해서 어린아이들한테 표를 팔았다면 공연주최측이 양심불량이었다고 생각됨. 솔직히 표를 사는 관람객들에게 애들이 볼만한건 블랙 크라운 하나라고 적어도 미리 경고는 해줬어야 한다고 봄.
관객대상은 공연내용에 따라 특정적이라.
제가 임의적인 잣대로 함부로 얘기하는게 아닌가 절 나무라실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아마 공연중 내내 아이들이 엄마 아빠보고 "저 사람 왜 저래?" "뭐하는거야?" 하고 묻는걸 들으셨다면, 그리고 공연 진행상 방해가 될까 혹은 본인들도 다 잘 이해하고 아이들에게 설명하기는 어려워 부모님들이 쩔쩔매며 곤란해하시는걸 보셨으면, 저와 같은 마음이 들지 않으셨을까 생각.
아이들 고문하는 것도 아니고 좀....
아이들은 이해가 안되는 것들 알고 싶어해요.
어쨌든 전 개인적으로 마임을 그리 잘 알지는 못해 제대로 다 이해는 못했지만, 마임도 참 재미있는 쟝르라고 생각은 하기 때문에 이번기회에 한번? 하고 보러갔음.
마임이 우리나라에서는 대중에게 그리 친숙한 쟝르가 아니지만, 미국같은 경우는 친구들과 게임하고 놀때 charade라는 걸 많이 합니다. 아마 미드나 영화에서 좀 보셨을지도.
예를 들면 다수 구성원으로 편을 갈라서 단어나 구절 또는 영화나 책제목 같은걸 마임으로 연기해 많이 맞추는 편이 이기는 게임인데, 소위 일반인이 즐기는 마임게임임. 뭘 해도 게임이라면, 특히 편갈라 먹고 마구 경쟁하면서 하면 재미짐. ㅎㅎ. 전 개인적으로 그 게임이 우리나라 대중 놀이문화에도 소개되어 많이 유포되면 참 좋을것 같다고 생각.
어쨌든 공연 내용은, 처음엔 한 남자분이 나와서 전봉준을 마임으로 표상. 좀 짧은 거였는데 이게 여러가지 표상된 마임 이미지가 제 머릿속에서 뒤죽박죽 섞이는 통에, 솔직히 시간이 좀 지난 현재에는 세세하게 쓸수 있을만큼 기억이 안남.
두번째 블랙 클라운은 보통 사람들에게도 익숙한, 영화에서 많이 보던 식으로 광대가 등장하는 마임. 마술사같이 풍선등으로 여러 트릭을 선사하면서 웃기는 광대. 어린아이나 어른 할것없이 관객을 무대로 끌어내 마임의 즐거움을 실제로 체험할 기회도 주고, 보는 관객들에게 대리 참가감을 느끼게 하며 즐거움을 선사. 어린이들에게도 어른들에게도 대히트였음.
세번째는 현진건님의 운수좋운 날을 마임 드라마식으로 보여준것 같음.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건 원작에는 없는데 인력거꾼 마누라역이 강조되어 그녀의 심경을 무용으로 묘사. 이게 특히 한국무용을 전공하신듯한 여배우님에 의해서 너무나 애절하게 한맺힌, 애끓는 듯한 아름다운 한국무용으로 표현되는게.........아!!!!! 정말 말로 표현하기 어렵게 너무 좋았음. 여배우님이 너무 예쁘고 고우시기도 하지만 한국무용은 정말 여기서 딱이야! 흠.........정말 한이 되겠지......남편을 두고 애까지 두고 이렇게 맥없이 죽어 떠나야 하다니.
여기선 오브제 기법도 사용. 오브제는 초현실주의 미술에서, 일상용품 같은걸 작품에 본래의 용도와는 다르게 작품에 사용해 새로운 느낌을 일으키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라고 하는데, 이 극에선 커다란 살 없는 바퀴프레임같이 생긴걸 사용해 이걸로 인력거도 표상하고, 때론 죄수들의 벗어날길 없는 현실같은걸 표상하는 쳇바퀴등 같은것 등을 표상하는듯 했음. 어쨌든 이 커다란 바퀴덕에 작은 무대가 더 작게 느껴짐.
어쨌든 재미있게 관람.
어디선가 마임배우가 마임의 가장 큰 매력은 여백의 미 라고 한 인터뷰를 봤습니다. 맞아요............ 여백과 침묵의 미 속에서 한편으로는 고요한 평정감을 느끼며, 그 잔잔한 수면위 상상력의 날개짓은 더 힘있게 더 크게 들리는 듯도 합니다.
요즘같이 진심도 없고 알맹이도 없고 행동력도 없는 말말말에 지칠땐 마임의 미를 기억해야겠음.
연극 [조씨고아,복수의 씨앗] (4) | 2015.11.22 |
---|---|
연극 [연애를 부탁해], [럽스타그램] (0) | 2015.09.15 |
연극 [애정빙자 사기극] (0) | 2015.09.13 |
연극 [내가 가장 예뻤을때] (제 10회 여성 연출가전, 2015) (2) | 2015.09.12 |
넌버벌 퍼포먼스 [파이어맨] (2) | 2015.09.12 |
연극 [백묵원- 유전유죄 무전무죄] (여성 연출가전 제10회, 2015) (4) | 2015.09.07 |
연극 [그녀를 축복하다] (여성 연출가전 제10회, 2015) (2) | 2015.09.05 |
연극 [말들의 무덤] (0) | 2015.09.05 |
영국 글로브 극장 [햄릿]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야외무대, <공원은 공연중>프로젝트, 2015.8.16) (0) | 2015.09.05 |
연극 [행복] (2) | 2015.08.31 |